전국을 17개 권역(시도)과 70개 지역(중진료권)으로 구분
필수의료 분야 ①응급·외상·심뇌혈관 등 중증의료, ②산모·신생아·어린이 의료, ③재활, ④지역사회 건강관리(만성질환, 정신, 장애인),
⑤감염 및 환자안전 등
입원 사망비(실제/예측사망자, ’13∼’17) : 서울 0.93, 충북 1.31
응급 사망비(실제/예측사망자, ’15∼’17) : 서울 0.94, 대구 1.16
뇌혈관질환 사망비(실제/예측사망자, ’15∼’17) : 부산 0.87, 충북 1.29
계획되지 않은 재입원비(실제/예측재입원자, ’13∼’17) : 대전 0.82, 전남 1.22
출처 : 필수의료 진료권 구분 및 의료현황 분석 연구(서울대, ’19년)필수의료 분야별 정부지정센터, 의료기관, 보건기관 등이 각자 서비스 제공에만 충실하고 환자 중심의 기능 연계는 미흡
권역책임의료기관 고난이도 필수의료 진료기능을 수행하면서, 권역 내 협력체계 총괄·조정 및 지역의료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수행
지역책임의료기관 중진료권 단위에서 지역의료기관 등과의 협력을 통해 지역별 필수의료 문제를 발굴하고, 문제 해결을 위한 연계·조정 등 역할 수행
권역·지역응급의료센터, 권역외상센터,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, 고위험 산모·신생아 통합치료센터, 신생아 집중치료지역센터, 지역암센터, 공공전문진료센터 등
심뇌혈관, 암, 호흡기질환자 등 5개 질환 대상, 서식개발 완료 및 시스템 구축 중
종합병원급 이상 지방의료원 등 공공병원을 우선 지정하고, 공공병원이 없는 지역에는 공익적인 민간병원 지정
구분 | 시도 | 책임의료기관 | ||
---|---|---|---|---|
시도 (지자체) | 공공보건의료지원단(위탁기관) | 권역책임의료기관 | 지역책임의료기관 | |
1 | 서울시 | 공공보건의료재단 | 서울대학교병원 | 서울의료원 |
2 | 부산광역시 | 지원단(부산의료원) | 부산대학교병원 | 부산의료원 |
3 | 인천광역시 | 지원단(인천의료원) | - | - |
4 | 대구광역시 | 지원단(공모 예정) | 경북대학교병원 | - |
5 | 울산광역시 | 지원단(공모 예정) | - | - |
6 | 경기도 | 지원단(분당서울대학교병원) | 분당서울대학교병원 | 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 |
7 | 강원도 | 지원단(강원대학교병원) | 강원대학교병원 | 원주의료원 |
강릉의료원 | ||||
속초의료원 | ||||
영월의료원 | ||||
삼척의료원 | ||||
8 | 충청북도 | - | 충북대학교병원 | 청주의료원 |
9 | 대전광역시 | 지원단(충남대학교병원) | 충남대학교병원 | - |
10 | 충청남도 | - | 홍성의료원 | |
11 | 세종특별자치도 | - | - | - |
12 | 전라북도 | - | 전북대학교병원 | 남원의료원 |
13 | 광주광역시 | 지원단(전남대학교병원) | 전남대학교병원 | - |
14 | 전라남도 | 지원단(도 직접 운영) | 목포시의료원 | |
15 | 경상북도 | - | 칠곡경북대학교병원 | 김천의료원 |
16 | 경상남도 | 지원단(창원경상대학교병원) | 경상대학교병원 | 마산의료원 |
17 | 제주특별자치도 | 지원단(제주대학교병원) | 제주대학교병원 | 제주서귀포의료원 |
구분 | 권역(’20년도) | 지역(’20년도) | |
---|---|---|---|
퇴원 후 유지·회복 |
|
의무 | 의무 |
병원 전단계·치료 |
|
의무 | (참여) |
예방·건강관리 |
|
선택 | 선택 |
교육·인력 지원 |
|
선택 | 선택 |
구분 | 지역사회 건강관리 (급성기 환자 연계·관리 등) |
중증응급질환 협력 | 감염 및 환자안전 | 정신/재활 | 산모/신생아/ 어린이 건강관리 |
---|---|---|---|---|---|
’19년 | 필수 | 선택 | |||
’20년 | 필수 | 필수 | |||
’21년 | 필수 | 필수 | 필수 | 선택 | 선택 |
’22년 | 필수 | 필수 | 필수 | 필수 | 선택 |
’23년 | 필수 | 필수 | 필수 | 필수 | 필수 |